'아뿔싸' 5-5, 9회 1사 3루 끝내기 찬스인데... KS MVP를 대타로 내지 못하다니... 왜[잠실 현장]
컨텐츠 정보
- 20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대타 카드가 나올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이날은 선발에서 제외됐던 주전 선수가 있었다. 2023년 한국시리즈 MVP인 오지환.그러나 오지환은 방망이가 아닌 글러브를 끼고 캐치볼을 하며 대수비를 준비하고 있었다. 즉 대타로 나올 일이 없다는 뜻이었다. 이영빈이 그대로 대타로 나왔고 1,2구 볼을 잘 지켜봤으나 이후 2B2S에서 6구째 146㎞ 직구에 헛스윙 삼진.
2사 3루서 홍창기의 볼넷으로 1,3루의 기회가 이어졌지만 문성주의 타구가 투수앞 땅볼이 되며 끝내 끝내기는 나오지 않았고 연장 10회초 권희동과 김휘집의 연속 2루타로 끝내 1점을 내줘 5대6으로 패배.
LG 트윈스가 22일 잠실에서 열린 NC 다이노스와의 홈경기서 10회 연장 접전 끝에 5대6으로 패했다. 20일 SSG 랜더스전서 3대9로 패한 뒤 올시즌 첫 2연패. 18승6패를 기록하게 됐다.
9회말이 가장 아쉬웠다. 4-5로 뒤진 상황에서 선두 박동원의 동점 솔로포에 이어 구본혁의 좌중간 2루타로 끝내기 기회가 만들어졌다. 박해민의 안정적인 희생번트로 1사 3루. 이제 희생플라이만 쳐도 LG의 멋진 역전승이 기록되는 상황.
그 상황에서 오지환이 대타로 나오지 않은 것이 아쉬울 따름이었다. 이영빈과 오지환은 경험이나 타격 능력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당연히 상대 투수가 받을 위압감에서도 다를 수밖에 없다.
오지환이 대타로 나가지 못한 이유가 있었다. 구본혁이 2루타로 출루한 뒤 대주자 최원영으로 교체되면서 오지환이 그 자리를 메우게 됐고, LG엔 남은 내야수가 없게 됐다. 외야수도 없어 이영빈이 빠지게 되면 만약 연장에 돌입할 경우 2루수를 볼 선수가 없어지는 상황이었다.
이날 벤치에 대기하고 있었던 선수는 내야수 오지환과 이영빈, 외야수 송찬의와 최원영 등 4명이었는데 송찬의가 7회말 9번 신민재의 대타로 투입됐었고 8회초 수비 때 이영빈으로 교체됐었다. 그리고 9회말 구본혁의 대주자로 최원영이 출전하면서 연장을 하게 되면 오지환이 수비를 해야하는 상황이라 어쩔 수 없이 이영빈이 타격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오지환은 10회초 유격수로 출전.
이영빈이 어떻게든 쳐서 내야수 정면 땅볼만 아니라면 발빠른 최원영이 홈을 밟을 수도 있었겠지만 맞히지 못했고, 이후 타자들도 3루 대주자 최원영을 홈으로 불러들이지 못한 결과는 아쉬운 패배였다. 그래도 8회 김현수의 동점 적시타와 9회 박동원의 동점 솔로포로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LG의 끈질긴 저력은 NC 불펜진을 총동원하게 만들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